디지털 관광주민증 발급 안내, 봄 여행 필수템. 44개 지역
디지털 시대를 맞아 관광 산업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화제가 되고 있는 것이 바로 디지털 관광주민증입니다.
이 증명서는 단순한 여행자 신분을 넘어, 특정 지역과의 깊은 유대감을 상징하는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인증입니다.
디지털 관광주민증은 2022년 10월 초에 강원도 평창군과 충청북도 옥천군에서 시범사업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2023년에는 15개 지역으로 확대되었으며, 2024년에는 34개 지역으로 늘어났습니다.
2025년 4월 말 기준으로는 총 44개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디지털 관광주민증의 개념, 발급 절차, 혜택 그리고 해당 지역의 축제 일정을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디지털 관광주민증의 개념과 필요성
디지털 관광주민증은 관광객이 특정 지역의 '주민'으로서 일정 기간 동안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증 시스템입니다.
인구가 감소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 주민과 관광객 간의 경계를 허물고, 장기 체류자나 지역 애호가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관광지 입장권, 숙박, 식음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디지털 관광주민증을 발급받으면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혜택은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공통된 혜택이 있습니다.
1. 지역 시설 이용 혜택
디지털 관광주민증 소지자는 지역 주민과 동일한 조건으로 주요 시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역 박물관, 문화센터 등을 무료 또는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숙박 및 음식점 할인
숙박 시설이나 음식점에서 일정 비율 할인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관광객이 지역에 머무르는 동안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3. 체험 프로그램 우선 참여
지역 특색을 살린 체험 프로그램에 우선적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4. 교통비 절감
지역 내 대중교통 요금을 할인받거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관광객이 편리하게 이동하며 지역 탐방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디지털 관광주민증 발급 방법
디지털 관광주민증은 해당 지역의 실제 주민이 아니라,
타지역에서 온 관광객이 발급받을 수 있는 증명서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 거주하는 사람이 강원도 삼척시를 방문하면서 관광주민증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부산에 사는 사람이 전북 고창군을 여행하면서 디지털 관광주민증을 발급받아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 디지털 관광주민증은 대한민국 구석구석 웹사이트나 모바일 앱으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 발급 절차는 간단하며,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칩니다.
1. 대한민국 구석구석 웹사이트나 모바일 앱 접속
2. 회원가입하고 이용약관 동의, 본인 인증
3. 관광 주민증 발급됨 (QR 코드)
디지털 관광주민증 발급 가능한 지역과 축제 안내
디지털 관광주민증은 타지역 관광객을 대상으로 발급되는 증명서이므로, 강원도, 제주도, 충청도 등 여러 지역의 디지털 관광주민증을 각각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디지털 관광주민증은 지역별로 따로 발급받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강원도 삼척시와 제주도에서 혜택을 누리려면,
• 삼척시 디지털 관광주민증
• 제주도 디지털 관광주민증
두 지역을 각각 발급받아야 합니다.
1. 강원도 - 삼척시,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철원군
1) 삼척시
문의처: 033-570-3077
1월 - 해맞이 축제
2월 - 정월대보름제
4월 - 맹방 유채꽃 축제
5월 - 장미축제
7월 - 삼척동해왕 이사부축제, 비치썸 페스티벌
10월 - 평생학습책 축제
12월 - 카운트다운쇼
2) 양양군
문의처: 033-670-2721, 033-670-2176
양양 해파랑길 41~44코스를 따라 걸으면 남애항, 죽도정, 하조대, 낙산사 등을 볼 수 있습니다.
3월 - 아기연어보내기 축제
4월 - 양양 벚꽃축제
6월 - 양양문화제
10월 - 송이연어축제 서핑페스티벌, 도루묵 축제
3) 영월군
장릉, 청령포는 읍내에 위치해서 관광하기 편리합니다.
문의처: 033-370-2865
4월 - 단종문화제
7~9월 - 동강국제사진제
8월 - 동강뗏목축제
10월 - 김삿갓문화제
4) 정선군
문의처: 033-560-2370
10월 - 정선아리랑제
9~10월 - 민둥산 억새꽃축제
5) 태백시
천상의 화원, 금대봉 야생화 시티투어를 활용하면 보존식물과 야생화를 볼 수 있습니다.
문의처: 033-550-2081
1~2월 - 태백산 눈축제
4월 - 산나물 축제
5월 - 구문소용축제
7~8월 - 한강 낙동강 발원지축제
10월 - 태백제, 철암 단풍 축제
6) 평창군
문의처: 033-330-2762
7월 - 대관령 음악제
9월 - 백일홍 축제
12~2월 - 송어축제
1월 - 대관령 눈꽃 축제
7) 홍천군
문의처: 033-433-1259, 033-430-2470~3
1월 - 홍천강 꽁꽁축제
4월 - 홍천 산나물 축제
7월 - 홍천 찰옥수수 축제
8월 - 홍천강 별빛음악 맥주축제
10월 - 홍천 인삼한우명품 축제
11월 - 홍천 사과축제
2. 경기도 - 가평군, 연천군
1) 가평군
문의처: 031-580-4631
5~6월/9~10월: 자라섬 꽃페스타
10월 -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
2) 연천군
전철 1호선 연천역, 전곡역 개통으로 쉽게 방문이 가능합니다.
문의처: 031-839-2061
5월 - 구석기 축제
9월 - 호로고루 통일바라기 해바라기 축제
10월 - 댑싸리 공원 개장, 국화전시회, 당포성 별빛 축제
3. 충청북도 - 괴산군, 단양군, 영동군, 옥천군, 제천시
1) 괴산군
문의처: 043-830-3459, 3455
구도심 관광지는 월요일 휴무가 많습니다.
5월 - 괴산 빨간 맛 페스티벌
6월 - 감물감자 축제
8월 - 괴산 고추 축제
10월 - 양곡 은행나무 축제
11월 - 괴산 김장 축제
2) 단양군
월요일 휴무인 곳이 많습니다.
문의처: 043-420-2904
5월 - 소백산 철쭉제
7월 - 수상 페스티벌
10월 - 온달문화 축제
3) 영동군
곳곳마다 볼거리가 많습니다. 차량 이동도 편리합니다.
문의처: 043-740-3211~5
1월 - 영동곶감 축제
5월 - 대한민국 와인축제
7~8월 - 힐링 광장 물놀이장
8월 - 영동 포도축제
10월 - 영동난계국악 축제
9~10월 - 테마공원 북피크닉
9월 - 추풍령급수탑 생생 문화재
1월 - 영동 눈썰매장
4) 옥천군
구도심 관광지는 월요일 휴무가 많습니다.
문의처: 043-730-3412
9월 - 지용제 문학 축제
10월 - 문화재 야행
5) 제천시
월요일 휴무일 곳이 많습니다.
문의처: 043-641-6705
4월 - 청풍호 벚꽃축제
8월 - 제천 국제 음악영화제
10월 - 제천 한방바이오 박람회
4. 충청남도 - 예산군, 태안군, 보령시
1) 예산군
문의처: 041-339-7322
4월 - 윤봉길 축제
9월 - 예산 맥주 축제, 황새 축제
10월 - 예산 장터 삼국 축제, 의좋은 형제 축제, 예산 문화재 야행
2) 태안군
문의처: 041-670-2772
4~5월 - 코리아 플라워파크 튤립꽃 축제
7월 - 모래조각 페스티벌
10월 - 백사장항 대하축제
12.31-1.1: 해넘이해맞이 축제
연중무휴: 태안빛축제
5. 전라북도 - 고창군, 남원시, 무주군, 임실군
1) 고창군
문의처: 063-560-2950
4월 - 청보리밭 축제
6월 - 복분자와 수박 축제, 갯벌 축제
10월 - 고창모양성제
2) 남원시
문의처: 063-620-6174
함파우 소리체험관 숙박은 전화예약 해야합니다.
3월 - 고로쇠약수 축제
4-5월 - 바래봉 철쭉제
5월 - 춘향제
10월 - 지리산 뱀사골 단풍 축제, 흥부제
3) 무주군
문의처: 063-320-2537
6월 - 무주산골영화제, 안성두문낙화놀이 축제
9월 - 무주 반딧불 축제
12월 - 무주 꽁꽁놀이 축제
4) 임실군
문의처: 063-640-2344
월요일 휴무인 곳이 많습니다.
3월 - 옥정호 벚꽃 축제
5월 - 임실 N 펫스타(오수의견공원), 가정의 달 행사(임실치즈 테마파크)
9월 - 사선문화제(사선대관광지)
10월 - 임실 N 치즈축제
12월 - 임실 산타축제(임실치즈 테마파크)
6. 전라남도 - 신안군, 영광군, 장흥군, 해남군, 구례군, 곡성군, 함평군
1) 신안군
문의처: 061-240-8683 날씨를 미리 확인하고 운항 여부를 미리 확인 후 계획하시기 바랍니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운항관리실(061-247-9466) 쾌속선은 예약을 해야 하며, 페리호는 선착순입니다.
목포여객선 터미널에서 출발하는 쾌속선이나 페리호는 인터넷 예약이 가능합니다.
차량은 선착순으로 승선합니다. 다른 선착장은 모두 현장 발매입니다.
매표시 신분증 필요합니다. 신분증 없을 시에는 무인발급기에서 등본 발급 후 제시하기 바랍니다
2) 영광군
문의처: 061-350-5224
5월 - 찰보리 어울마당
6월 - 법성포 단오제
9월 - 불갑산 상사화 축제
10월 - E모빌리티 엑스포
3) 장흥군
문의처: 061-860-5771~3
7월 - 정남진 장흥 물축제
9월 - 장흥 회령포 이순신 축제
10월 - 대한민국 통합의학 박람회
4) 해남군
문의처: 061-530-5852
3월 - 달마고도 힐링 축제
5월 - 해남공룡 대축제
7월 - 송호해변 여름축제
9~10월 - 명량대첩 축제
10-11월 - 해남 미남 축제
12.31-1.1 - 땅끝 해넘이 해맞이 축제
7. 경상북도 - 고령군, 안동시, 영덕군, 영주시, 청도군, 의성군
1) 고령군
청정하나 야외 관광지가 많습니다.
월요일 휴무인 곳이 많습니다.
문의처: 054-950-6662
4월 - 고령대가야 축제
7-8월 - 여름 물놀이
9월 - 대가야 문화예술제
10월 - 친환경캠핑페스타
2) 안동시
문의처: 054-852-6800, 054-840-6393
1월 - 암산얼음 축제
4월 - 벚꽃축제
5월 - 차전장군 노국공주 축제
7월 - 수페스타
9월 - 안동 국제탈춤 페스티벌
3) 영덕군
문의처: 054-730-6533, 054-730-5853
3월 - 영덕 대게 축제
5월 - 영덕 물가자미 축제
7월 - 황금은어 축제
10월 - 영덕 송이 축제
4) 영주시
문의처: 054-639-6611~4
5월 - 한국비문화 축제, 소백산 철쭉제
7월 - 시원(ONE) 축제
10월 - 풍기 인삼 축제, 무섬 외나무다리 축제
11월 - 영주장날 농특산물 대축제
8. 경상남도 - 거창군, 하동군, 합천군, 밀양시
1) 거창군
월요일 휴무인 곳이 많습니다.
문의처: 055-940-3420 거창 관광택시를 이용하면 편리한 여행이 될 수 있습니다.
최대 4인, 운행대수: 2대. 여행 최소 5일 전 미리 예약 필수. 055-940-3423
4월 - 거창 창포원 꽃 창포, 덕천 서원/북상면 일원 벚꽃
5월 - 거창에 On 봄 축제
6-8월 - 스승대와 월성계곡 피서
7-8월 - 거창 국제연극제
9-10월 - 거창 창포원, 거창사건추모공원 국화, 거창 별바람 언덕 아스타 국화, 거창 항노화 힐링랜드 단풍
10월 - 한마당 대축제, 꽃&별 축제(가창별바람언덕) 겨울 - 거창 명산 및 서출 동류물길, 수승대 무병장수 둘레길, 수승대 눈썰매장
2) 하동군
문의처: 055-880-2375
4월 - 화개장터 벚꽃 축제
5월 - 하동 야생 차문화 축제, 북천 꽃양귀비 축제
7월 - 하동 섬진강 문화재첩 축제 9월 - 북천 코스모스 메밀꽃 축제
3) 합천군
지역이 넓으니 동선을 미리 계획하시기 바랍니다.
식당과 카페가 늦은 시간까지 운영하지 않은 곳이 많을 수 있습니다.
문의처: 055-930-3753, 055-930-4666
4월 - 합천 벚꽃 마라톤 대회
4-5월 - 황매산 철쭉제
7-8월 - 합천 바캉스 축제
9월 - 합천대야문화제
10월 - 합천 황토한우 축제, 대장경기록문화 축제
10-11월 - 황매산 억새축제
9. 부산광역시 - 서구, 영도구, 동구
1) 서구
송도 해수욕장 인근에 관광명소와 혜택지가 많습니다.
문의처: 051-240-4081
1월 - 송도 해맞이 축제
정월대보름 - 송도달집 축제
8월 - 현인가요제
10월 - 부산 고등어축제
2) 영도구
장소별 휴관일을 미리 확인 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문의처: 05-419-4044
청마가옥, 봉산캠퍼스 체험하기
절영마영도 스토리 투어버스 - 영도 구석구석을 여행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해 예약하시기 바랍니다.
10. 인천광역시
1) 강화군
문의처: 021-930-3561
4월 - 고려산 진달래 축제
4월 봄 콘서트, 강화 와글와글 축제
9월 - 강화문화제야행
10월 - 강화 와글와글 축제, 삼랑성 역사문화 축제, 강화 화개정원 축제, 10월愛콘서트
주의사항
각 지역의 디지털 관광주민증은 해당 지역에서만 유효하며, 다른 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유효기간은 발급 후 1년입니다.
만약 미리 발급받기를 잊었다면, 해당 지역 관광 안내소 등에서 QR 코드를 스캔하여 바로 발급받아 혜택을 바로 받을 수 있습니다.
가맹점 쿠폰 이용방법과 문의처
1️⃣ 나의 관광주민증을 직원에게 제시 - 가맹점 직원 확인, 쿠폰 사용 (관광주민증이 없는 경우 현장에서 가입하여 쿠폰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2️⃣ 가맹점 3km 이내에서 모바일 쿠폰 적용 - 가맹점 쿠폰 발급 진행 - 발급 후 직원에게 제시
3️⃣ 가맹점에서 직접 QR 코드를 스캔 - 가맹점 쿠폰 발급 진행 - 발급 후 직원에게 제시
문의처
디지털 관광주민증 콜센터 02-6271-2016 (9:00-18:00)
디지털 관광주민증 카카오톡 (1:1 챗봇)
마무리
디지털 관광주민증은 앞으로 더 많은 지역에서 도입될 가능성이 큽니다. 단순한 관광을 넘어, 지역 사회와 함께하는 지속 가능한 관광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이용자 편의를 극대화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미래에는 관광객과 지역 주민이 자연스럽게 공존하며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소통 창구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관광주민증의 이용 범위가 제한적이어서 실질적 혜택이 미비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간 통합 인증 시스템 도입이 필요합니다.
디지털 관광주민증이 더욱 활성화되어 더 많은 사람들이 지역과 하나가 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를 바랍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2025 국민연금 개혁, 반대 목소리. 미래세대의 형평성 논란
2025 국민연금 개혁, 반대 목소리. 미래세대의 형평성 논란
2025년 국민연금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며 보험료율 인상과 소득대체율 고정이 확정되었습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연금 제도의 지속 가능성과 노후소득 보장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일
yourlifesupport.com
4월 30일까지 공익직불금 방문신청, 필수안내서 17가지 준수사항 필독
4월 30일까지 공익직불금 방문신청, 필수안내서 17가지 준수사항 필독
2025년 공익직불금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농업인의 소득을 안정적으로 보장하고, 농촌의 공익적 가치를 인정하는 이 제도는 매년 수많은 농업인들에게 꼭 필요한 정책입니다. 특히 올해는 면
beenotes.tistory.com
2탄) 고용보험법, 아빠 육아 휴직 장려금 - 인천, 세종, 아산, 천안, 경기 정리.
2탄) 고용보험법, 아빠 육아 휴직 장려금 - 인천, 세종, 아산, 천안, 경기 정리.
비노트는 전국의 아빠 육아 휴직 장려금을 지원하는 지역을 시리즈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두 번째 지역인 인천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아산시와 천안시, 그리고 경기도입
yourlifesupport.com